한미글로벌 블로그의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No.44 ·2025-09-22
아틀리에 데 뤼미에르, 몰입 체험의 무대로 재탄생한 19세기 주물공장 [Vol. 24 프랑스/파리(Paris)]
파리의 정신과 영혼이 깃든 곳 필자가 파리의 행정 단위인 ‘아헝디스멍(Arrondissement)’을 강조하는 이유는 파리 도시재생의 맥락을 이해하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앞서 다룬 베르시 빌라주(Bercy Village)는 파리 12구, 르 성카트르 파리(Le Centquatre-Paris)는 파리 19구에 위치하며, 이번 글에서 소개할 ‘아틀리에 데 뤼미에르(Atelier des Lumières)’는 파리 11구에 자리한다. 세 지역은 모두 파리 동쪽 외곽에 속하며 전형적인 산업 지역이었다는 공통점이 지닌다. 그러나 파리 11구는 다른 구들과 달리 프랑스 현대사의 생생한 현장이라는 상징성도 함께 갖는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의 출발점인 된 ‘바스티유 광장(Place de la Bas.......
-
No.43 ·2025-09-17
대부분의 건물은 왜 네모날까?
우리는 일상의 대부분을 사각형의 공간 속에서 보냅니다. 길거리를 걸으면 주택, 학교, 병원 고층 빌딩까지 대부분의 건물이 네모반듯한 형태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는 단순히 직사각형 형태가 안정적이고 보기 편해서일까요? 아니면 그 이면에 구조적·실용적 비밀이 숨어 있을까요? 대부분의 건물이 네모난 이유와 이러한 일률적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건축 형태의 등장 과정을 살펴봅니다. 네모난 건물은 ‘효율의 결과’일까? 건축에서 사각형이 보편적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구조적 안정성입니다. 사각형은 각 모서리가 90도여서 벽과 기둥에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고, 외부 압력이나 내부 하중에도 견고하게 버.......
-
No.42 ·2025-09-16
한미글로벌, ‘통일 독일의 국토개발과 한반도 국토전략’ 발간
▲ 독일 통일 35주년 맞아 국토개발 성과와 교훈을 담은 심층 도서 발간 ▲ 통일 한반도의 국토발전 전략과 10대 과제 제시 국내 1위 PM(건설사업관리) 전문 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통일 독일의 국토개발과 한반도 국토전략’을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책을 펴낸 한미글로벌 산하 통일한반도건설전략연구소는 올해 독일 통일 35주년을 맞아, 통일 독일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얻은 교훈과 시사점을 분석하고 통일 이후 한반도가 나아가야 할 국토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이 책에 따르면 독일 통일 초기 5년 동안 동독 지역에 1,300억 마르크(약 65조원)가 교통, 통신, 기타 기반시설에 투입되면서 동독 지역의 주거 환경과 인프라 수.......
-
No.41 ·2025-09-10
추상미술이 만든 집, 데 스틸(De Stijl)
데 스틸(De Stijl)은 1917년 네덜란드에서 창간된 예술 운동의 기관지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네덜란드어 ‘De Stijl’은 영어로 ‘The Style’, 즉 ‘양식’을 뜻합니다. 20세기 초 피에트 몬드리안의 추상회화를 출발점으로 한 이 운동은 직선과 원색, 절제된 형태를 통해 하나의 예술 세계를 구현하고자 했으며, 그 영향은 미술을 넘어 건축과 디자인에까지 확산되어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현대 미술과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데 스틸의 탄생 배경과 의미, 그리고 대표 건축 사례와 현대적 가치에 대해 함께 살펴봅니다. 순수 추상의 확장, 데 스틸의 세계 데 스틸은 1917년 네덜란드 화.......
-
No.40 ·2025-09-08
르 성카트르 파리, 모두를 위한 열린 무대가 된 장례식장 [Vol. 23 프랑스/파리(Paris)]
파리 19구에 건립된 장례식장 파리의 행정 단위인 ‘아헝디스멍(Arrondissement)’은 우리나라의 구에 해당한다. 센 강과 접하며 루브르 궁전이 자리한 지역이 1구이고 이를 기점으로 나선형으로 구역이 배열되어 동쪽의 20구에서 끝난다. 아래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구에서 6구까지 중심에 위치한 지역에 비해 외곽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진다. 이러한 외곽 지역에는 공장이나 창고와 같은 산업시설이 입지했고 상대적으로 빈곤층이 밀집하면서 광범위한 쇠퇴 현상이 발생했다. 지난 글에서 설명한 베르시 빌라주(Bercy Village) 역시 12구에 속한다. 따라서 파리시가 직면한 핵심 과제는 이와 같은 외곽 지역의 쇠퇴를 어떻게 해결할 것.......
-
No.39 ·2025-09-03
지속 가능한 공간을 위한 적응적 재사용(Adaptive Reuse) 건축
최근 건축계에서는 도시와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흐름 속에서 ‘적응적 재사용(Adaptive Reuse)’이 중요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건물을 단순히 복원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기능과 가치를 부여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혁신적인 건축 방식입니다. 기존 인프라를 다각도로 활용해 자원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건축물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보존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큽니다. 건축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적응적 재사용’ 건축에 대해 알아봅니다. 지속가능성과 도시 재생, ‘적응적 재사용’의 가치 ‘적응적 재사용’은 기존 건축물을 해체하지 않고 새로운 용도와 기능을 부여해 도시 재생과 지속가능성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