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글로벌 블로그의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No.44 ·2025-04-08
"통일 독일에서 배우는 한반도 국토전략은?" 건설산업비전포럼 세미나 개최
건설산업비전포럼(공동대표 강호인, 이현수, 오세철)이 한반도미래포럼(이사장 천영우)과 함께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언주로 건설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통일 독일 국토개발과 한반도의 국토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통일에 대비하여 다년간 한반도 건설산업 전략을 준비해온 한미글로벌이 이번 세미나를 후원한다. 최근 미중 패권 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여러 시나리오 중 남북한의 갑작스러운 통일도 대비를 해야 하는 이유는 준비 없이 통일을 맞을 경우 큰 혼란과 천문학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
-
No.43 ·2025-04-07
더본드, 후기산업도시의 혁신적 미래를 제시하다 [Vol. 13 영국/버밍엄(Birmingham)]
딕베스지역의 잠재력 지난 네 번의 글을 통해 버밍엄을 설명했다. 영국에서 버밍엄이 리버풀, 맨체스터와 함께 제2의 도시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실을 강조했다. 적어도 지난 300여 년의 역사를 살펴보면 이러한 구도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데 필자는 앞으로 이러한 판도에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한다. 버밍엄이 리버풀과 맨체스터를 넘어 런던과 경쟁하는 양강 구도를 구축할 것이다. 아래의 지도를 살펴보자. ‘영국(United Kingdom)’은 잉글랜드(England), 웨일즈(Wales), 스코틀랜드(Scotland) 그리고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로 이루어진 연합이다. 지리적으로 버밍엄이 네 국가의 중심에 자리하고 동시에 런.......
-
No.42 ·2025-04-02
벽을 허문 오피스, 새로운 공간의 탄생
세계 혁신 기업들의 업무 및 휴식 공간이 원격 근무와 디지털 발전에 힘입어 새로운 모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더욱 편안하게 일할 수 있도록 '고정된 자리'라는 기존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업무 수행 방식에 최적화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클라우드 기반 도구, 화상회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기술이 다양한 업무에 접목되면서 전통적인 사무실 구조보다는 디지털 환경 기반의 근무 환경 구축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오피스의 개념도 단순한 업무 공간을 넘어 기업의 스토리텔링을 담고, 직원들의 참.......
-
No.41 ·2025-03-24
[제120편] 관세 전쟁에 사재기 나선 건설사들
캐나다, 맥시코 25% 관세 앞두고 불안 실제 관세 적용 전인데도 사재기에 가격 상승 왓이프 (What if). “만약 ~하면 어떻게 될까”란 질문이다. 요즘 미국부동산 투자 관련해서 이 ‘왓이프’로 시작되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만약 미국 관세 인상으로 물가와 함께 건설 비용이 크게 늘어나면 어떻게 하냐. 이런 질문들이다. 그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전 세계의 뜨거운 감자다. 경제가 불확실하다. 특히 건설 업계의 걱정이크다. 관세로 자재 가격이 오르고, 반이민 정책으로 현장의 인력난이커지고 있다. 물론 일감도 늘고 친화적 세금 정책으로, 장기적으로는좋을 거 같은데, 오늘은 걱정이 앞선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 초기 여러 걱.......
-
No.40 ·2025-03-24
커스타드 팩토리, 버밍엄 창조산업의 허브 [Vol. 12 영국/버밍엄(Birmingham)]
버밍엄의 다양성과 개방성 지난 글에서 설명했듯이 새로운 버밍엄은 상징적으로 이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주역인 브린들리플레이스(Brindleyplace)와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주역인 불링(Bullring)이 대표한다. 그런데 아래의 지도에서 알 수 있듯이 조금 더 정확한 위치를 살펴보면 불링지역은 도시의 중심부에 자리한다. 지리적으로 동쪽은 ‘딕베스(Digbeth)’이고 이곳은 다양한 공장들이 자리한 전형적인 산업지역이다. 브린들리플레이스지역과 불링지역이 버밍엄시가 추진한 전략적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활성화에 성공했지만 딕베스지역은 그렇지 못했다. 이곳에는 18세기와 19세기에 건립된 대규모 공장들이 가득했으므로 본격적인 쇠퇴가 발.......
-
No.39 ·2025-03-19
우주에 아파트를 지을 수 있을까?
‘무한한 미지의 세계’인 우주 탐사에 대한 글로벌 선진국들의 도전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1월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시행 계획을 발표하며 우주산업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최근 몇 년 사이 주목받고 있는 개발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전통적 건설업과 우주 산업이 융합된 우주 건설 분야입니다.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우주 선도국들은 발사체나 위성 등 전통 산업 분야 확장을 넘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같은 핵심 연구 기관들과 협력하며 우주 건설 분야에 투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주 건설 분야는 인류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혁.......